Categories

이월결손금 알고 계신가요?

이월결손금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이월결손금 들어본적 있으신가요? 종합소득세 신고를 마치고 난 뒤라서 들어보신분도 계실테고, 처음 듣는분도 계실거예요.

조금 생소한 이월결손금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이월결손금? 그게 뭐임?

이월결손금은 말그대로 이월된 손실비용을 이미합니다. 손실을 어떻게 이월하느냐구요? 지금부터 설명해드릴게요.

사업은 항상 이익만 볼 순 없겠죠? 때로는 손해를 보게 됩니다. 사람사는게 다 그렇지만, 항상 벌기만 할 순 없잖아요?

어떤 경우는 투자를 위해서 손실을 보기도 하고, 어떤 경우는 수익이 적어서 손실이 발생하기도 하고, 다양한 이유로 사업을 하면서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 손실을 넘겨주는게(이월) 이월결손금입니다.

손실을 넘겨서 어디다 써?

손실을 넘긴다니까 무슨말인가 싶으실 수 있는데, 세금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소득세나 법인세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내가 벌어들인 이익에 대해 세금을 납부하게 되죠?

예를 들어, 매출이 1억이고 이 중 비용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이 5천만원이다 하면 5천만원에 대해서 세금을 납부합니다.

그런데, 만약 매출이 1억이고 비용이 1억 5천만원이 나갔다면 5천만원의 손해를 본거잖아요? 근데 세금 0원이라니.. 뭔가 불공평한거같죠?

그런 의미에서 나온게 이월결손금 항목입니다.

이월결손금은 어떻게 받나요?

기본적으로 이월결손금을 받기 위해서는 장부가 필수입니다. 장부가 없으면 이월결손금을 인정받을 수 없어요.

만약 사업 첫 해이고, 단순경비율을 통한 추계신고를 진행한다면 매출액 x 단순경비율(60~90%)를 적용하기 때문에 무조건 소득이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단순경비율은 매출액을 초과하는 비용이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죠!(기준경비율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장부를 작성했다면, 손해본 만큼 이월결손금이 생기는 것이고 이월결손금을 적용하면, 향후 10년간 손실액이 이월됩니다.

만약 올해 손실이 발생했다면, 내년 이익에서 올해 손실만큼 빼준다는 말이죠.

A씨의 이야기

예를 들어서 설명드릴게요. A씨는 이번에 새로 사업을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6월부터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알아봤습니다.

본격적으로 임대료, 인테리어 비용, 물품 구입비, 인건비 등등 다양한 비용이 나갔습니다. 다 정리해보니 1억의 비용을 지출했네요.

반면에 올해 매출은 총 5천만원에 불과합니다. 터무니없는 손해죠? 앞으로 이익을 볼 수 있다 하더라도 큰 손해를 입었습니다.

자, 여기서 A씨가 이월결손금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당연히 장부를 써야겠죠?

장부를 썼다면, 올해 손해 5천만원이 이월결손금으로 남을 수 있습니다. 이월결손금이 생기면, 내년에 1억의 수입이 발생하더라도 올해 손해본 5천만원을 빼줍니다.

이런게 있었냐구요? 네, 대부분 적용받지 못해 사업 첫해 추가로 납부하는 세금이 수백억이 넘습니다. 사업 첫해 이런 내용을 알기 쉽지 않거든요.

대부분 단순경비율로 처리하면 세금이 0원이니 그걸로 넘어가는겁니다. 하지만, 장부를 통한 이월결손금을 책정하면 내년 세금을 감면받을 수 있게 되는거죠!

세무사가 다 알아서 해주겠지

네, 사실 많은 세무사 분들이 열심히 노력하고 계십니다. 사업을 계속 지속하고 있던, 처음으로 사업을 시작하던 똑같이 장부를 작성해서 손실을 이월결손금 처리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세무대리인도 이월결손금을 적용하기 쉽지 않은데요, 꾸준히 한 곳에서 기장을 맡겨왔다면 어느정도 도와줄 수 있고 실제로 도와주는 경우도 많습니다만

새로 기장을 맡기신 분이나, 맡기다가 언제 떠날지 모른다 싶으면 이월결손금을 처리해주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전에 가져온 장부에 적힌 이월결손금이 진짜인지 아닌지 알 수 없기 때문이죠. 만약 낮은 확률이라도 이월결손금이 허위라면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국세청에서는 이월결손금이 크게 발생하면 당연히 증빙을 확인하려 할테고, 증빙이 없으면 전년도 신고가 허위신고가 되기 때문이죠.

이월결손금을 제대로 처리하려면 사업자 본인이 확인하고 관리하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세무사를 통한 장부관리를 하더라도, 사업자 스스로 확인하는 습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혹은 머니핀을 이용하면서 장부를 꾸준히 관리하는 습관을 들여보는 것도 좋겠네요!

사업하는 좋은 습관, 머니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를 발행하지 않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