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오픈마켓 및 쿠팡 판매자 부가세 신고

오픈마켓 및 쿠팡 판매자 부가세 신고 방법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1월이 되면 모든 사업자에게 부가세 신고의 부담이 다가옵니다. 그리고 오픈마켓이나 쿠팡 판매자 부가세 신고 역시 진행됩니다. 하지만 N잡이거나, 규모가 작아 잘 모르는 경우도 많죠.

비용을 조금이라도 아끼기 위해 직접 홈택스에서 신고하시는 경우도 많고요. 그런분들을 위해서 간단하게 신고를 정리해드리려고 합니다.

혹시 스마트스토어 사업자라면 이쪽으로 👉 (Click!)

세금은 볼수록 난해하고 어렵습니다.

부가가치세의 이해

부가가치세는 기본적으로 소비자가 납부하게 되어있습니다. 가치에 매기는 세금이기 때문이죠.

그러나 실제 납부는 사업자가 하게 되어있죠. 이 부분 때문에 많은 초보사업자 분들이 사업자 죽으라는거냐고 하시기도 합니다.

사실, 상품의 가격을 결정할 때 절대 잊지말아야 할 것이 부가세입니다. 마진을 포함한 물건의 가격을 결정한 뒤 부가세를 포함해야 손해가 없죠. 물건을 저렴하게 판매할 생각에 물건가격만 맞추면, 결과적으로 부가세 부담때문에 손해가 쌓이고는 합니다.

부가세를 사업자가 내는 이유는, 소비자가 내기 어려움이 따르는게 가장 큽니다. 소비자가 하나하나 물건을 구입할 때마다 국세청에 신고하는건 불가능하겠죠?

반면에 사업자는 사업을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세금을 포함해서 걷고, 납부하기 용이하므로 사업자에게 부가세를 부과하는 것입니다.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부가세 신고는 크게 세가지 방법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 세무사 사무실에 기장 맡기기
    비용 : 매달 5 ~ 10만원 or 신고수수료(10만원 이상)
    장점 : 신경 쓸 필요가 없어요! 알아서 다 해드립니다.
    단점 : 비용이 너무 비싸요.(소규모의 경우 큰 부담)
  • 세무회계 프로그램 사용
    비용 : 매달 3만원 이하 or 신고 시 5만원 이하
    장점 : 전문가 상담을 받아서 하기 때문에 조금 덜 배워도 되고 홈택스에 비해 절세가 되는데 비용은 세무사보다 저렴해요.
    단점 : 장점을 뒤집으면 단점이 되죠. 비용도 들어가고, 직접 배워야 할 것들도 있어요.
  • 직접 신고
    비용 : 무료! or 교육 비용(도서, 영상 등)
    장점 : 비용이 들지 않아요!
    단점 : 세금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올 수 있으며, 직접 배워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이 따를 수 있어요.

세가지 방법 중 자신이 원하는 방식은 성향에 맞춰 고민할 필요가 있겠죠?

세무회계 프로그램이 궁금하다면
👉👉👉 세무회계 프로그램 비교 (Click!)

아니면, 간편하게 부가세 신고키트 머니핀을 활용해보세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를 발행하지 않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