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부가세 납부 A to Z

부가세 납부 전에 한번쯤 확인하면 좋을 내용들 알려드릴게요.

1월은 새해의 시작이기도 하지만, 사업자들에게는 ‘부가세 납부’ 라는 대형 이벤트가 있습니다.

하지만 초보 사업자나 소규모 사업자의 경우 부가세 납부와 관련해서 모르는 부분이 있어서 놓치거나 손해를 보는 경우가 종종 있죠.ㅇ

부가세 납부를 어떻게 하는지, 하나하나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가세 납부 전 확인 사항

부가세 납부를 위해서는 우선 부가세를 알아야겠죠? 부가세에 대해서 대부분 들어보셨을테지만,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부가세를 알아야 좀 더 잘 대비할 수 있으니까요.

부가세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여기를 눌러 부가가치세의 개념과 의미 를 읽어보세요.

부가세는 간이과세와 일반과세로 나눠서 볼 수 있답니다. 대부분 이 개념에서 많이 헷갈려 하세요.

여기를 눌러 간이과세자 부가세신고 를 읽어보시는건 어떨까요?

세액은 확인하셨나요?

부가세 납부를 위해서는 부가세 신고를 진행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세금은 ‘내가 낼 세금은 이만큼입니다.’ 라고 먼저 신고를 진행하고 납부를 하게 되거든요.

부가세 신고에 대한 자세한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눌러 부가세 신고 를 읽어보세요.

부가세 신고를 마치면 신고서가 생성되는데요, 이를 바탕으로 세금을 납부하면 됩니다.

만약 신고 전 세액이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눌러 원클릭 부가세 계산기를 통해 확인하세요.

부가세 납부는 홈택스에서

부가세는 특이하게 국세와 지방세로 나뉘어 있지 않아요. 따라서 국세만 납부하면 된답니다.

모든 국세는 홈택스에서 진행되며, 납부기한은 신고가 속한 달의 25일까지예요. 단, 25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돌아오는 월요일까지로 납부기한이 바뀌게 됩니다.

납부기한까지 맞춰서 내지 못하면, 가산세가 붙으며 가산세는 매일매일 추가되기 때문에 가능한 신고를 마친 뒤 바로 납부하시는게 좋아요.

부가세 납부 세액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 후 부가세 납부 끝

납부까지 끝내면 끝인가요?

축하드려요! 대부분의 경우 납부까지 마치면, 모든 과정이 끝난답니다. 돌아오는 납부기간까지 부가세 관리를 잘 할 일만 남은거죠.

단순히 세금 냈으니 불편하고 어려운 일 하나 끝냈다 생각할게 아닙니다. 세금은 액수도 중요하지만, 내 사업이 얼마나 관리되는지 알아볼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니까요.

기장을 맡기고 확인하지 않거나, 홈택스에서 되는대로 빨리 끝내기만 하다보면 어느 순간 사업의 흐름을 놓치게 됩니다.

꾸준히 내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요.

직접 관리하는데 관심이 있으시다면, 세무회계 프로그램을 같이 써보시는 것도 좋아요.

세무회계 프로그램 비교

사업관리 프로그램 비교

위 컨텐츠를 보고 자신에게 맞는 사업관리/세무회계 프로그램을 찾아보세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를 발행하지 않을 것입니다.